충치 났을때 나두면 생기는 부작용

오늘은 충치 났을 때 놔두면 생기는 부작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며 정보를 공유드립니다. 충치가 겉 부분에 생겼을 때는 몇 개월 정도 나둬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이 부분은 평소 구강 관리 혹은 치아 관리를 잘하는 사람에 한해서 적용됩니다.

흡연 및 음주를 자주 하시고 구강의 환경을 건조하게 유지하시는 경우에는 금방 충치가 진행되게 됩니다. 겉 부분이 아닌 점점 뿌리 부근으로 다가가게 되지요.

뿌리 부근으로 다가가면 통증이 생기기 시작하는데요. 이때 주의하셔야 할 부분이 일반 충치 치료는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정말 꼼꼼한 전문의를 만나면 미세한 충치라도 전부 제거가 가능하지만, 거의 완벽하게 꼼꼼하게 진행하는 방향보다는 보이는 충치 그냥 제거하고 레진이나 크라운 씌어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문제는 레진은 그렇지 않지만, 크라운인 경우에는 신경치료를 하고 씌우기 때문에, 안에 충치가 남아서 재발되더라도 통증이 느껴지지 않기에 충치가 안 생긴다고 착각하게 되지요.

그래서 나중에 보면 크라운이 자연적으로 탈락되었는데, 다시 크라운으로 시술을 못하는 이유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마디로 그냥 보철물 접착제 하나만으로 계속 사용하고 계셨다고 보시면 됩니다.

문제는 여기에서 끝이 아니라, 크라운 내부가 썩게 되면, 바로 옆치아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데요. 여치의 뿌리 부근에 충치가 생겨서 잘못하면 같이 발치를 하고 임플란트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충치가 생기면 방치를 하는 방향보다는 임플란트 전문 치과에 가셔서 부분 마취하시고, 그냥 발치를 하신 다음에 임플란트 식립하시는 것이 총합적인 비용면에서 훨씬 저렴합니다.

레진 하고 몇 년 있다가 크라운 하고, 크라운 하고 몇 년 있다가 임플란트 하는 방향보다는 애당초 처음부터 임플란트를 하시게 되면 충치가 서식하지도 않고 옆치아에 정착하지도 않게 되므로 많은 예방도움을 주오니 이 점 잘 참고하시어 적절한 치료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