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강내주사 비급여 실비여부 총정리


예전에는 관절강내주사 자체가 비급여였지만, 요즘에는 완전 비급여가 아닌 일부분의 급여로 되는 추세입니다. 그래서 이 부분은 보험사에 먼저 문의를 하실 것이 아니라, 해당 전문의에게 먼저 문의를 하신 후에 보험사에 2차적으로 문의하시어 약관에 대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실비가 되는지 안되는지 여부는 관절 관련 병원에서 물어보시는 것이 가장좋으며, 일반적으로 전화를 해서 실비여부에 대해서 묻는 행위는 즉각적인 답변을 받기 힘듭니다.

또한 관절 관련 주사나 수술을 진행하는 병원자체가 동네에 그리 많지 않는편이라서, 한군데에 괜히 비호감으로 찍히면 나중에 조금 서로 보기가 불편할수도 있으실텐데요.

요즘에는 온라인으로 알려진 병원들이 많아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대략 다섯군데 정도 찾아보신 다음에 한군데 한군데 예약을 진행하신 후에 직접 방문하여 실비 여부에 대해서도 물어보시고,

효과 부작용에 대해서도 질문을 하시고 답변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귀찮게 왜 돌아다녀야 하는데요? ”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무릎 관절은 자신의 니즈에 충족하고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를 만나서 오랫동안 진료 받고 관리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단순하게 처음 부터 실비 여부에 대해서 물어보는 목적으로 병원을 찾으시는 방향보다는, 경험이 풍부하고 굳이 수술이나 주사를 안맞아도 무릎에 대한 이해도가 깊은 전문의를 만나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개선의 효과를 더 바라볼수 있습니다.

필자 또한 무릎 관절이 안좋아서 무릎 관절 주사를 많이 맞곤 하였는데, 이제는 안맞습니다. 전문의 잘만나서 무릎 통증 완화하는 체형 교정 방법을 배우게 되서 이제는 그렇게 통증이 많이 나타나지도 않고 일상생활 잘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얼마나 심했냐면 걸을때 마다 무릎이 시큰 거림으로 굉장히 걷기가 힘들었습니다. 특히 체중이 많이 나가게 되면 이러한 증상이 생기게 되는데요.

단순하게 일차원적으로 주사나 수술을 권유하는 분이 아닌, 발목 아치 교정에 대해서 신경을 써주시고 이에 교정을 하면서 무릎 통증이 많이 나아졌습니다. 걷는 자세부터 자세 유지 하는 방법까지 더해서 말이지요.

그러므로 이번 기회에 실비 여부 확인하시면서 무릎에 대한 이해도가 깊은 전문의를 만나셔서 좋은 치료 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